[프로그래머스][LV.1] 추억 점수 | python3

2025. 1. 23. 18:17프로그래머스/LV.1

 

문제 링크: 추억 점수

 

문제 설명

문제 설명

사진들을 보며 추억에 젖어 있던 루는 사진별로 추억 점수를 매길려고 합니다. 사진 속에 나오는 인물의 그리움 점수를 모두 합산한 값이 해당 사진의 추억 점수가 됩니다. 예를 들어 사진 속 인물의 이름이 ["may", "kein", "kain"]이고 각 인물의 그리움 점수가 [5점, 10점, 1점]일 때 해당 사진의 추억 점수는 16(5 + 10 + 1)점이 됩니다. 다른 사진 속 인물의 이름이 ["kali", "mari", "don", "tony"]이고 ["kali", "mari", "don"]의 그리움 점수가 각각 [11점, 1점, 55점]]이고, "tony"는 그리움 점수가 없을 때, 이 사진의 추억 점수는 3명의 그리움 점수를 합한 67(11 + 1 + 55)점입니다.
그리워하는 사람의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 name, 각 사람별 그리움 점수를 담은 정수 배열 yearning, 각 사진에 찍힌 인물의 이름을 담은 이차원 문자열 배열 photo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사진들의 추억 점수를 photo에 주어진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- 3 ≤ name의 길이 = yearning의 길이≤ 100
  • 3 ≤ name의 원소의 길이 ≤ 7
  • name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• name에는 중복된 값이 들어가지 않습니다.
  • 1 ≤ yearning[i] ≤ 100
    yearning[i]는 i번째 사람의 그리움 점수입니다.

- 3 ≤ photo의 길이 ≤ 100

  • 1 ≤ photo[i]의 길이 ≤ 100
  • 3 ≤ photo[i]의 원소(문자열)의 길이 ≤ 7
  • photo[i]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• photo[i]의 원소들은 중복된 값이 들어가지 않습니다.

 


문제 풀이

photo의 행렬에 들어있는 사람이름들을 for문으로 돌면서 name에 있으면 name에 해당 인덱스를 찾는다. 찾은 인덱스값을 그리움이 담긴 리스트의 그리움 값을 뽑아내는 데에 활용한다.(인물과 그 인물의 그리움값은 같은 인덱스에 있다.)

그 값들을 더해서 리스트에 대입한다.

 

내코드

def solution(name, yearning, photo):
    answer = []
    
    for p in photo:
        result=0
        for person in p:
            if person in name:
                idx = name.index(person)
                result+=yearning[idx]
        answer.append(result)
    return answer

 

 


더보기

다른사람풀이

def solution(이름, 점수, 사진):
    return [sum(점수[이름.index(j)] for j in i if j in 이름) for i in 사진]

한줄코드....구조화해서 보는 연습할 때 좋을 것 같다...

 

def solution(name, yearning, photo):
    dictionary = dict(zip(name,yearning))
    scores = []
    for pt in photo:
        score = 0
        for p in pt:
            if p in dictionary:
                score += dictionary[p]
        scores.append(score)
    return scores

 zip을 이용하여 딕셔너리를 만들 수가 있구나....

그리고 딕셔너리로 만들어서 찾는 게 리스트 인덱스보다 빠를 것 같다.

 

♣ zip() 으로 딕셔너리

 

zip()은 두 개 이상의 iterable 객체(예: 리스트, 튜플)를 병렬로 묶어서 각각의 요소를 쌍(pair)으로 만드는 함수입니다. 이를 dict()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쉽게 딕셔너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  • zip(name, yearning):
    • name 리스트와 yearning 리스트의 요소를 인덱스별로 묶어서 튜플로 생성합니다.
    • 예를 들어:
       
       
      name = ['Alice', 'Bob', 'Charlie']
      yearning = [5, 10, 15]
      zip(name, yearning) → [('Alice', 5), ('Bob', 10), ('Charlie', 15)]
       
  • dict(zip(name, yearning)):
    • zip()으로 생성된 튜플 리스트를 dict()로 변환하여 키-값 쌍의 딕셔너리로 만듭니다.
    • 결과:
       
       
      dictionary = {'Alice': 5, 'Bob': 10, 'Charlie': 15}